목록전체보기 (232)
거인의 코딩일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A2LJK/btszjHmxNGw/UOxEnKfbFNzkHRRGQaSw11/img.png)
String.join() 메서드란?? java8 부터는 String class 에서 .join() 이라는 method 를 지원한다. String.join() 이란 여러개의 String을 이어붙여 하나의 String으로 만들어주는 메서드이다. //ex) .join("Hello", List); .join("Hello", Array); 여기서 "Hello" 는 각 String을 이어 붙일 때 그 사이에 삽입할 문자를 가리키는 것이고 두번째 parameter로 위치하는 List 또는 Array는 이어붙일 String 들의 set 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String[] str = {"Hello", "Hi", "Nice", "to", "meet", "you"}; System.out.println(String.jo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ggG5T/btszkRa47D6/8x0EZMPoYoMzMWLGGmak00/img.png)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my_string, int[] indices) { String answer = ""; String[] arr = my_string.split(""); for(int i = 0; i 우선 문자열을 배열로 만들어 주기위해 split("")함수를 이용해서 한글자씩 배열로 나누어줌그뒤 반복문을 활용하여 arr의 indices[i] 번째 인덱스를 빈칸으로 지정해줌그뒤 다시 반복문을 활용해서 answer 에다가 담아주었다!!다른사람들의 풀이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my_string, int[] indices)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UK2uM/btszhoFx7tk/P5d59F6KM8F1XML7AoE9Sk/img.png)
얕은복사( Shallow Copy) 란?? 복사하려는 원본 객체에 대해서 새로운 단일 객체 또는 새로운 복합 객체를 만들고 원본 객체를 참조 하는것. 즉, 다양한 복합 멤버 변수를 갖고 있는 객체에서 인스턴스가 생성 될 때 인스턴스화 되면서 메모리에 할당한 주소의 값을 참조 한다. 복사 객체가 원본 객체에 종속적이다. 즉, call-by-reference와 유사한 개념이 된다. 인스턴스화하여 객체를 메모리에 할당했을 때이다. 얕은 복사는 원본 객체 A와 복사 객체 B가 하나의 할당받은 영역을 지정하여 원본 객체 A가 변경되는 경우 B도 똑같은 메모리 상의 영역을 참조하고 있기 때문에 값이 종속적으로 변경된다. 이것이 얕은 복사이다. public class Shallow_array { public sta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ZPIKt/btszbRBKkDp/Nc7f3FV7EDO6fEeygO5u8K/img.png)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my_string) { int[] answer = new int[52]; for (int i = 0; i = 'A' && c = 'a' && 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uLIHY/btszcPprzB2/KbXFnIanqa9KKqFKYM0Hok/img.png)
charAt() 함수란?? String 으로 저장된 문자열 중에서 한글자만 선택하여 char 타입으로 변환해 주는 함수이다. charAt() 의 형태?? 기본적으로 charAt() 함수를 사용하려면 String 타입의 문자열이 필요하다. // ex) String str = new String (); str = "Hello"; 라는 예시가 있다. String 타입의 참조변수 str 에 "Hello"라는 문자열을 저장한 후 str을 char 타입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str.charAt(); 이러한 참조 변수 뒤에 . 을 찍고 charAt()을 적어주면 된다. 하지만 이 상태로는 아무것도 되지 않는다!!! // ex2) String str = new String(); char c = ' '; str = "H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k4z7S/btsy45NLKai/ChU2C4thRh1USWnJqtr5sk/img.png)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ingredient) { int[] newIngredient = new int[ingredient.length]; int idx = 0; int answer = 0; for(int ing : ingredient) { newIngredient[idx] = ing; idx++; if(idx >= 4) { if(newIngredient[idx-4] == 1 && newIngredient[idx-3] == 2 && newIngredient[idx-2] == 3 && newIngredient[idx-1] == 1) { idx -= 4; answer++; } } } return answer; } } 우선 문제가 너무 길어서 힘들었다......
MCS(Material Control System)란??? 물류제어시스템, 상위 시스템(MES)과 연동하여 물류 이송을 위한 최적경로 설정 및 물류 이동 장비로 방송 명령을 전달하는 시스템 공장내의 AMHS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장비들을 제어하면서 Material 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스마트 물류?? 온라인 쇼핑이 일반화 되며, 배송을 위한 물류센터에서의 분류작업, 문류 입출고등을 자동화 하는 기술이 발전 인공지능과 정보통신 등 다양한 신기술을 활용하여 물류 현장의 자동화 설비를 구축하는 시스템 4차 산업시대에서 로봇, 드론, 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의 기술이 미래선업으로 떠올랐으며 스마트 문류는 가장 유망한 분야 중 하나 스마트 물류의 핵심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fNLF/btsyU9cxz2D/cInfNU6Z37dZPnKsRwKwP1/img.png)
자바 스크립트 패키지 매니져?? (Javascript Package Manager) npm 과 yarn 은 자바스크립트 패키지 매니저 이다. 패키지란?? npm 에 업로드된 노드 모듈을 이야기 한다. 다양한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램이 패키지라는 이름으로 npm에 등록되어 있다. 패키지가 다른 패키지를 사용할 경우 의존관계를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패키지들을 사용하기 위해서 다운로드, 설치, 업데이트 의존성관리, 제거 등 복잡한 상황이 많이 생기는데 패키지 매니저를 사용하면 이러한 과정들을 자동화 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npm(node package manager) 이란?? npm은 이름 그대로 노드 패키지 매니저 이다. 런타임 동안 노드환경에서 쓰이는 다양한 패키지들을 관리한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FoEkB/btsyHBsMz4P/C70UTQPAWnapTPx7AMmW21/img.png)
SetTimeout() 란?? setTimeout() 메서드는 만료된 후 함수나 지정한 코드조각을 실행하는 타이머를 설정하는 함수이다. 즉, 어떤 코드를 바로 실행하지 않고 일정 시간 기다린 후 실행해야하는 경우가 존재하는데 이럴때 setTimeout() 함수를 사용한다. 첫번쨰 인자로 실행할 코드를 담고있는 함수를 받고, 두번째 인자로 지연시간을 밀리초(ms) 단위로 받는다. 세번째 인자부터 가변인자를 받는데, 첫번쨰 인자로 넘어온 함수가 인자를 받는 경우 이 함수에 넘길 인자를 명시해서 사용해야 한다. setTimeout(() => { console.log("첫 번째 메시지"); }, 5000); setTimeout(() => { console.log("두 번째 메시지"); }, 3000); set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29tk/btsyIFHVAfQ/QqM79YvMelz86ewuUY2J41/img.png)
ref() 란??? 전달된 값을 갖게 되고, 이것을 가리키는 단일 속성 .value가 있는 변경 가능한 반응형 ref 객체를 반환 ref 객체는 반응형이며, .value 속성에 새 값을 할당할 수 있다. 즉, .value 에 대한 모든 읽기 작업이 추적되고, 쓰기 작업은 관련 이펙트를 트리거한다. 객체가 ref의 값(.value)으로 할당되면, reactive()로 내부 깊숙이(deeply) 반응한다. 객체 내부 깊숙이 ref가 포함되어 있으면, 언래핑됨을 의미 내부 깊숙이까지 변환되는 것을 방지하려면,shallowRef()를 사용 ref 의 장점? 타입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템플릿에서 단일 변수로 사용할 수 있다. 래핑, 언래핑의 개념이 혼란스러울 경우?? 어떤 값이 ref에 할당되어 있다고 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