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거인의 코딩일지

[SQLD] 오답정리(데이터 모델과 SQL) 본문

자격증/SQLD

[SQLD] 오답정리(데이터 모델과 SQL)

코딩거인 2024. 5. 16. 20:49
728x90

다음 중 성능 데이터 모델링을 위한 유의사항으로 가장 바람직 한것은 무엇인가???
  1. 하나의 속성이 여러개의 속성값을 갖는 데이터 모델은 2차 정규화 대상이 된다.
  2. 중복 테이블을 추가함 으로써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3. 테이블 병합은 정규화 기법중 하나이다.
  4. 조회 성능의 저하를 막기위해 정규화 보다는 반정규화를 우선시 해야한다.
  • 2번
  • 1 : 하나의 속성이 여러개의 속성 값을 갖는 데이터 모델은 제 1 정규화 대상이 된다.
  • 3 : 테이블 병합은 반정규화 기법 중 하나이다.
  • 4 : 정규화가 항상 조회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은 아니며 반정규화를 함으로써 조회 성능이 확실히 좋아지는 상황에서만 반정규화를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데이터 모델링의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무엇인가??
  1. 데이터 모델에 맞게 정규화를 수행한다.
  2. 데이터베이스의 용량 및 트랜잭션 유형을 파악하여 성능 저하를 일으키는 부분이 없는지 검토 한다.
  3. 용량과 트랜잭션 유형에 맞게 반정규화를 수행한다.
  4. 성능향샹을 위한 이력모델의 조정, PK/FK 조정, 슈퍼/서브타입 조정 등을 수행한다.
  5. 데이터 모델의 성능을 검증한다.

한 테이블의 속성 개수가 과도하게 많을 때 발생 할 수 있는 현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별도의 조인은 필요 없으며, 하나의 테이블로 많은 데이터 조회가 가능하므로 성능에 항상 유리하다.
  2. 테이블 용량을 줄이기 위해 수평분할을 하면 유리하다
  3. 정규화 기법인 테이블 수직 분할을 수행한다.
  4. 자주 쓰는 컬럼만 분리하여 데이터 조회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 4번
  • 한 테이블에 속성의 개수가 과도하게 많을 경우 조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주 쓰이는 속성과 그렇지 않은 속성을 나누어 수직 분할할 수 있다. 수직 분할은 반정규화 기법 중 하나이며 분할된 테이블은 1:1 관계를 이루게 된다.
    • 수직분할 : 테이블의 일부 속성을 별동의 테이블로 분리
    • 수평분할 : 테이블의 특정 인스턴스를 별도의 테이블로 분할

다음 중 트랜잭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1. 트랜잭션은 하나의 커밋 단위로 묶여야 한다.
  2. 데이터 모델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렵다
  3. 트랜잭션은 물리적인 업무단위이다.
  4. 데이터는 트랜잭션 범위와는 무관하다.
  • 1번
  • 트랜잭션은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논리적 작업 단위로 데이터 모델로 표현할 수 있으며 데이터는 트랜잭션 번위로 묶일 수 있다.

다음 중 NULL 연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NULL 이 포함된 사칙연산의 결과는 항상 NULL 이다.
  2. 데이터를 집계할 때 NULL은 집계 대상에서 제외된다.
  3. WHERE COL IS NULL 조건은 WHERE COL = NULL 조건과 같다.
  4. WHERE COL IS NOT NULL 조건은 COL이 NULL 이 아닌 행만 출력하는 조건이다.
  • 3번
  • WHERE COL IS NULL 조건은 NULL 인 행을 반환 하지만 COL = NULL 의 결과는 항상 False 이므로 WHERE COL = NULL 조건은 아무 행도 반환 하지 않는다.

괄호 안에 알맞은 말은 무엇인가??
테이블 반정규화는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수행되지만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무결성을 깨트릴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     ) 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깨뜨릴 위험성 없이 데이터 처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정규화 기법이다.
  • 중복 관계 추가
  • 중복 관계 추가는 관계의 반정규화 기법 중 하나로 데이터 무결성을 깨뜨릴 위험성 없이 데이터 처리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법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