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인의 코딩일지
[기술면접 대비]INNER 조인과 OUTER조인의 정의와 차이점 본문
728x90
SQL 기본 문법: JOIN(INNER, OUTER, 등등)
하나의 테이블에 원하는 데이터가 모두 있다면 참 좋겠지만, 두 개의 테이블을 엮어야 원하는 결과가 나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조인을 쓰면 두 개의 테이블을 엮어서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두 테이블의 조인을 위해서는 기본키(PRIMARY KEY, PK)와 외래키(FOREIGN KEY, FK) 관계로 맺어져야 하고, 이를 일대다 관계라고 합니다.
INNER JOIN
조인이 되는 키값을 기준으로 교집합 (NULL값을 포함하지 않는다),
두 테이블을 조인할 때, 두 테이블에 모두 지정한 열의 데이터가 있어야 한다.
SELECT <열 목록>
FROM <첫 번째 테이블>
INNER JOIN <두 번째 테이블>
ON <조인 조건>
[WHERE 검색 조건]
#INNER JOIN을 JOIN이라고만 써도 INNER JOIN으로 인식합니다.
OUTER JOIN
조인이 되는 키값을 기준으로 기준테이블 Key 집합 (기준테이블은 NULL값을 포함한다)
두 테이블을 조인할 때, 1개의 테이블에만 데이터가 있어도 결과가 나온다.
SELECT <열 목록>
FROM <첫 번째 테이블(LEFT 테이블)>
<LEFT | RIGHT | FULL> OUTER JOIN <두 번째 테이블(RIGHT 테이블)>
ON <조인 조건>
[WHERE 검색 조건]
참고) OUTER JOIN의 종류
1. LEFT OUTER JOIN: 왼쪽 테이블의 모든 값이 출력되는 조인
2. RIGHT OUTER JOIN: 오른쪽 테이블의 모든 값이 출력되는 조인
3. FULL OUTER JOIN: 왼쪽 또는 오른쪽 테이블의 모든 값이 출력되는 조인
728x90
'기본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면접대비] 오버로딩(Overloading) vs 오버라이딩(Overriding) (0) | 2023.07.19 |
---|---|
[기술면접대비] 스프링(Spring)의 장점 (0) | 2023.07.19 |
[기술면접대비] Java의 5가지 특징 (0) | 2023.07.19 |
[기술면접 대비] WebServer(웹서버) & WebApplicationServer(WAS) 차이 (0) | 2023.07.13 |
[기술면접 대비]객체지향이란?? (0) | 2023.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