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인의 코딩일지
[정처산기_필기]Chapter02-1_프로그래밍 언어 활용/01 본문
728x90
파이썬의 변수 작성 규칙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변수 이름의 중간에 공백을 사용할 수 있다.
변수이름의 중간에 공백을 사용할 수 없다.
첫 자리에 숫자를 사용 할 수 없다.
다음은 C 언어 코드 이다. 출력 결과는 무엇인가?
#include <stdio.h>
void main(){
int i = 3, j = 4;
printf("%d", 2&&3);
printf("%d", i<2 || j<3);
}
- 10
논리 연산자에서 0이면 거짓이고, 0이 아니면 참이므로 2는 참이고 3도 참이므로 2&&3은 참과 참에 대해 AND 연산이므로 참인 1이 출력된다.
i < 2는 거짓이고, j < 3 도 거짓이므로 거짓과 거짓에 대해 OR 연산이므로 거짓인 0이 출력된다.
다음 중 커서를 다음 페이지의 시작 부분으로 넘기라는 뜻을 가진 이스케이프 문자는 무엇인가??
- \r
\b - Backspace
- 문자를 출력하고 뒤로 한 칸 이동\f - Form Feed
- 커서를 다음 페이지의 시작 부분으로 넘김\r - Carriage Return
- 커서를 다음 줄로 넘기지 않고 첫 번째 위치로 넘김\n - New Line
- 커서를 다음 줄 앞으로 이동
다음 자바 출력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class Soojebi{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 args){
int a = 0b0101;
System.out.print(a);
}
}
- 5가 출력된다.
0b로 시작하면 2진수, 0x 로 시작하면 16진수를 의미한다
0b0101 이면 2진수 0101 이므로 10진수로 바꾸면 5가 되고 5가 a 라는 변수에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print (a) 하면 5가 출력된다.
다음 중 일반 함수와 매크로 함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것은?
- 매크로 함수의 크기가 증가해도 가독성이 떨어지지 않는다.
- 일반 함수는 인수의 자료형을 기재하고, 매크로 함수는 인수의 자료형을 기재하지 않는다.
- 매크로 함수는 일반 함수에 비해 컴파일 속도는 더 오래 걸리지만, 실행 속도는 더 빠르다.
- 매크로 함수에 비해 일반 함수는 호출 되는 곳마다 함수의 본체가 삽입되므로 실행 파일의 크기가 커진다.
- 매크로 함수의 크기가 증가하면 증가할 수록 사용되는 괄호 또한 매우 많아 져서 가독성이 떨어진다.
C 언어에서 전처리(Preprocessing)문 에서 상수값을 지정하기 위한 예약어로 구문의 상수로 치환하는 것은 무엇인가?
- #define
C언어에서 #이 붙으면 전처리기 라고 함.
#include : C언어 프로그램에 헤더파일을 포함 할때 사용하는 전처리기
#define : 매크로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전처리기, 상숫값을 지정하기 위한 예약어로 구문의 상수로 치환할 때 사용하는 전처리기
#undef : 매크로를 해제할 때 사용하는 전처리기 (#define 반대 기능)
파이썬의 print 명령어 중 오류가 발생하는 것은 무엇인가?
print("%d" %(500, 600))
전달 인자(argument)의 수가 맞지 않아 TypeError 가 발생한다.
-- TypeError : not all arguments converted during string fomatting
다음 Java 코드의 실행 결과로 옳은 것은?
public class Soojebi{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 args){
int a = 0;
int b = ++a;
System.out.println(b++);
}
}
- 1
b의 값은 ++a 가 대입되면서 1이 저장되며, println을 통해 b++의 값을 출력하며 이때 1이 출력된 이후 b는 2가 된다.
다음은 C 언어 코드이다. 결과값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include<stdio.h>
int main(){
int max = 0;
int a = 5;
int b = 10;
max = a<b ? a:b
printf("%d", max);
return 0;
}
- 5
a의 값은 5가 되어 b의 값인 10 보다 작으므로 max 값인 5가 출력된다.
main 함수 호출
정수형 변수 max 에 0을 저장
정수형 변수 a 에 5를 저장
정수형 변수 b 에 10을 저장
a가 b 보다 작은 경우 a를, 크거나 같을경우 b를 max에 저장한다.
728x90
'자격증 > 정처산기_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처산기_필기]Chapter03-1_데이터베이스 이해/01 (0) | 2023.05.21 |
---|---|
[정처산기_필기]Chapter02-1_프로그래밍 언어 활용/02 (0) | 2023.05.21 |
[정처산기_필기]Chapter01-4_테스트 및 배포 (0) | 2023.05.19 |
[정처산기_필기]Chapter01-3_애플리케이션 설계/02 (1) | 2023.05.18 |
[정처산기_필기]Chapter01-3_애플리케이션 설계/01 (0) | 2023.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