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인의 코딩일지
[정처산기_필기]Chapter01_응용SW 기초 기술 활용/05 본문
728x90
Banker's Algorithm 과 연계되는 교착상태 해결 기법은?
- Avoidance
예방
(Prevention)점유 자원 해제 후 새 자원 요청 회피
(Avoidance)은행원 알고리즘(Banker's Alforithm), Wound-Wait, Wait-Die 발견
(Detection)자원 할당 그래프, Wait for Graph 복구
(Recovery)프로세스 Kill, 자원선점
병행 프로세스의 상호배제 구현 기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 은행원 알고리즘
은행원 알고리즘은 교착상태 해결 방법 중 회피(Avoid-ance) 방법이다.
세마포어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것은?
- 세마포어는 메모리 단편화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 세마포어는 멀티프로그래밍 환경에서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기 떄문에 메모리 단편화와 관련이 없다.
- 세마포어는 멀티프로그래밍 환경에서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한 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 세마포어는 정수형 값을 가진다.
- 한 프로세스(또는 스레드)에서 세마포어 값을 변경하는 동안 다른프로세스가 동시에 이 값을 변경해서는 안된다.
P.V 연산을 통해 교착상태를 해결하는 기법은 무엇인가?
- 세마포어
세마포어(Semaphore)는 멀티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P (임계구역 들어가기 전 수행), V(임계구역에서 나올 때 수행) 연산을 기반으로 구현한다.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 중 가장 안쪽과 가장 바깥쪽의 실린더에 대한 차별대우를 없앤 기법은?
- C-SCAN
FCFS 디스크 대기 큐에 가장 먼저 들어온 트랙에 대한 요청을 먼저 서비스 하는 기법 SSTF 현재 위치에서 탐색거리(Seek Distance)가 가장 짧은 트랙에 대한 요청을 먼저 서비스 하는 기법 C-SCAN - 항상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움직이며 가장 짧은 탐색거리를 갖는 요청을 서비스하는 기법
- 안쪽 끝까지 이동했으면 다시 바깥쪽부터 탐색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공평한 기법
UNIX 에서 현재 디렉토리 내의 파일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은?
- ls
find 특정한 파일을 찾는 명령어 ls 현재 디렉터리 내 파일 및 폴더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명령어 cat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는 명령어
다음과 같은 트랙이 요청되어 큐에 도착하였다. 모든 트랙을 서비스하기 위하여 LOOK 스케줄링 기법이 사용되었을 때 모두 몇 트랙의 헤드 이동이 생기는가?
(단, 현재 헤드의 위치는 50트랙이고, 헤드는 트랙 0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10 40 55 35
- 85
- LOOK (= 엘리베이터 알고리즘)은 현재 헤드의 위치에서 진행방향이 결정되면 탐색거리가 짧은 순서에 따라 그 방향의 모든 요청을 서비스 하고, 더이상 의 요청이 없으면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기법이다.
- 디스크의 대기 큐의 트랙번호가 다음과 같다 10 40 55 35
- 현재 헤드의 위치는 50번 트랙이고, 0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헤드의 이동순서는
50(Start) > 40 > 35 > 10 > 55 이다.
- 디스크의 대기큐의 트랙번호가 다음과 같다. 따라서 헤드의 이동거리는 10+5+25+45 = 85 이다!
UNIX 에서 현재 프로세스의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는?
- ps
ps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 목록 출력 cp 파일 복사 명령어 chmod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퍼미션 수정 명령어 cat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는 명령어
지역성(Localy)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은?
- 공간 지역성은 하나의 기억장소가 가까운 장소에도 참조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 공간 지역성은 하나의 기억장소가 참조되면 그 근처의 기억장소가 계속 참조 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하는 지역성이다.
- 하나의 기억장소가 가까운 장래에도 참조될 가능성이 높은 특성을 나타내는 지역성은 시간 지역성이다.
- 프로세서들은 기억장치내의 정보를 균일하게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 순간에 특정 부분을 집중적으로 참조한다.
- 시간 지역성의 예는 "순환, 부 프로그램, 스택" 등이 있다.
- 순차 지역성의 예는 "순차적 코드의 실행" 이 있다.
유닉스에서 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할 떄 사용하는 명령어는?
- fork
- fork :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명령어
- mknod : 노드 생성
728x90
'자격증 > 정처산기_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처산기_필기]Chapter01_응용SW 기초 기술 활용/07 (0) | 2023.05.18 |
---|---|
[정처산기_필기]Chapter01_응용SW 기초 기술 활용/06 (2) | 2023.05.18 |
[정처산기_필기]Chapter01_응용SW 기초 기술 활용/04 (0) | 2023.05.18 |
[정처산기_필기]Chapter01_응용SW 기초 기술 활용/03 (0) | 2023.05.18 |
[정처산기_필기]Chapter01_응용SW 기초 기술 활용/02 (0) | 202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