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거인의 코딩일지

[기술면접대비]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정규화를 하는 이유? 본문

카테고리 없음

[기술면접대비]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정규화를 하는 이유?

코딩거인 2023. 7. 19. 19:03
728x90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정규화(Normalization)를 하는 이유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최적화하여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정규화는 데이터를 적절한 테이블로 분할하여 중복 데이터를 피하고, 데이터의 종속성을 제거하여 불필요한 데이터 수정을 방지합니다.

1) 데이터 중복 최소화
2) 데이터 일관성 보장
3) 데이터 변경 시 이상 현상 방지
4) 쿼리 성능 최적화
데이터 중복 최소화

중복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의 용량을 증가시키고 데이터 일관성을 해치는 원인이 됩니다. 정규화를 통해 데이터를 적절한 테이블로 분리하면서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베이스의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데이터 일관성 보장

데이터 중복이 없거나 최소화되면 데이터를 한 곳에서만 업데이트하면 됩니다. 중복된 데이터를 수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일관성 문제를 예방하여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변경 시 이상 현상 방지

중복된 데이터가 있는 경우 데이터를 수정할 때 여러 장소에서 수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데이터의 불일치나 불일어난 업데이트로 인한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규화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쿼리 성능 최적화

정규화를 통해 테이블의 크기가 작아지고 데이터가 분산되면 쿼리의 실행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조인할 때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에서 중요한 과정으로, 데이터의 특성과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정규화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도한 정규화는 쿼리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준의 정규화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설계자는 데이터의 특성과 요구사항을 잘 파악하여 최적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